맨위로가기

폐빈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폐빈 박씨는 조선 광해군의 세자빈으로, 밀양 박씨 출신이다. 1611년 세자 이지와 혼인하여 세자빈이 되었으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면서 강화도로 유배되었다. 유배 생활 중 남편과 함께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남편이 체포된 후 3일 만에 자결했다. 폐위된 관계로 시호는 없으며, 가족으로는 아버지 박자흥, 외조부 이이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조반정 - 오윤겸
    오윤겸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외교관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 시대에 내외직을 역임하며 임진왜란 군량미 확보, 대동법 시행 건의, 조선-일본 외교 관계 회복에 기여했고, 인조반정 이후에는 서인의 영수로서 당쟁 해소와 민심 수습에 힘썼다.
  • 인조반정 - 숙의 허씨
    조선 광해군의 후궁인 숙의 허씨는 양천 허씨로, 1613년 숙의로 입궁하여 총애를 받았고 빈으로 승격되어 수빈에 봉해졌으나, 인조반정 이후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으며, 그녀의 입궁으로 일족이 득세하는 폐단이 있었다.
  • 폐위된 비빈 - 공빈 김씨
    조선 선조의 후궁인 공빈 김씨는 임해군과 광해군을 낳고 선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후궁들과의 갈등과 산후병으로 사망하여 광해군 즉위 후 왕후로 추존되었다가 인조반정 이후 빈으로 강등되었으며, 그녀의 묘소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폐위된 비빈 - 희빈 장씨
    희빈 장씨는 조선 숙종의 총애를 받은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로, 뛰어난 미모와 숙종 시대의 당쟁 속에서 왕비까지 올랐으나, 결국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이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자살한 왕족 - 유립
    유립은 전한 시대의 제후로, 양왕 유정의 뒤를 이어 양왕이 되었으나, 여러 범죄를 저지르고 봉국을 빼앗긴 뒤 자살했다.
  • 자살한 왕족 - 알리 레자 팔라비
    알리 레자 팔라비는 팔라비 왕조의 왕자로서 이란 혁명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학업을 이어갔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고대 이란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2011년 보스턴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폐빈 박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위왕세자
재위 기간1611년 8월 2일 ~ 1623년 3월 14일 (음력)
본관밀양 박씨
출생1598년 (음력)
사망1623년 5월 (음력)
사망 장소강화도
배우자세자 지
자녀1녀: 군주 (요절)
가계
아버지박자흥
어머니광주 이씨
시아버지광해군

2. 생애

본관밀양이며, 아버지는 박자흥, 어머니는 광주 이씨이다. 1598년(선조 31년)에 태어났으며, 족보에는 1602년(선조 35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7명의 남동생을 둔 장녀이자 외동딸이었다. 부친을 통해 신라 경명왕과 장사택왕후의 29대 외손녀였으며, 밀성대군 박언침 (887–?)은 밀양 박씨의 시조였다. 그녀의 외가 큰 고모는 양녕대군의 6대손인 이상항(1578–1623)과 결혼했다. 두 사람 모두 김개시의 음모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

== 간택과 세자빈 시절 ==

밀양 박씨인[8] 박씨는 1611년(광해군 3년) 음력 8월 2일 왕세자빈 간택을 통해 세자 이지와 혼인하여 왕세자빈으로 간택되었다.[2][8] 박씨가 세자빈에 책봉된 것을 기념하여 광해군은 특별히 박씨의 아버지 박자흥에게 6품의 관직을 제수하고,[9] 조부 박승종에게는 숭정대부(崇政大夫), 외조부 이이첨에게는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제수하였다.[10]

1614년(광해군 6년) 음력 7월 5일, 박씨의 출산을 위해 산실청이 설치되었으나,[11] 이때 태어난 첫 아이(군주)는 같은 해 음력 12월 19일에 요절하였다.[3][12][13]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그녀의 외할아버지는 정치적 궁중 소용돌이에 연루되었다. 그는 김개시, 시아버지의 후궁, 그리고 권신과 함께 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 인조반정과 폐위 ==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면서 폐빈 박씨도 강화도로 쫓겨났다.[4] 인조반정 직후, 박씨의 조부 박승종과 아버지 박자흥은 자결하였고,[14] 외조부 이이첨은 아들들과 함께 참수되었다.[15] 이는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보수 세력(인조, 서인)의 정치보복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유배 생활 동안 폐빈 박씨는 남편 폐세자 이지와 함께 단식, 목을 매는 등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6] 시아버지의 폭정과 외할아버지의 김개시와의 정치적 연루로 인해 그녀의 가족도 유배되었고, 일부는 처형되어 참수되었다.

== 최후 ==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폐빈 박씨는 강화도로 쫓겨가는 신세가 되었다.[16] 유배 생활 중 폐빈 박씨는 남편 이지와 함께 단식을 하거나 목을 매는 등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6][5]

약 2개월 후인 1623년 음력 5월, 이지가 탈출을 위해 땅굴을 파고 도망치려다 붙잡혔고, 박씨는 이지가 체포된 지 3일째 되던 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6][5] 향년 26세였다.[16] 그리고 1623년 7월 22일, 죽은 지 한 달 후(음력 6월 25일), 그녀의 남편은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폐위된 관계로 시호 등은 없다.

2. 1. 간택과 세자빈 시절

밀양 박씨인[8] 박씨는 1611년(광해군 3년) 음력 8월 2일 왕세자빈 간택을 통해 세자 이지와 혼인하여 왕세자빈으로 간택되었다.[2][8] 박씨가 세자빈에 책봉된 것을 기념하여 광해군은 특별히 박씨의 아버지 박자흥에게 6품의 관직을 제수하고,[9] 조부 박승종에게는 숭정대부(崇政大夫), 외조부 이이첨에게는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제수하였다.[10]

1614년(광해군 6년) 음력 7월 5일, 박씨의 출산을 위해 산실청이 설치되었으나,[11] 이때 태어난 첫 아이(군주)는 같은 해 음력 12월 19일에 요절하였다.[3][12][13]

2. 2. 인조반정과 폐위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면서 폐빈 박씨도 강화도로 쫓겨났다.[14] 인조반정 직후, 박씨의 조부 박승종과 아버지 박자흥은 자결하였고,[14] 외조부 이이첨은 아들들과 함께 참수되었다.[15] 이는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보수 세력(인조, 서인)의 정치보복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유배 생활 중 폐빈 박씨는 남편 폐세자 이지와 함께 단식, 목을 매는 등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6]

2. 3. 최후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폐빈 박씨는 강화도로 쫓겨가는 신세가 되었다.[16] 유배 생활 중 폐빈 박씨는 남편 이지와 함께 단식을 하거나 목을 매는 등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6][5]

약 2개월 후인 1623년 음력 5월, 이지가 탈출을 위해 땅굴을 파고 도망치려다 붙잡혔고, 박씨는 이지가 체포된 지 3일째 되던 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6] 향년 26세였다.[16] 한편 남편 이지는 박씨가 자결하고 약 한 달 후인 음력 6월 25일 처형되었다.[17]

폐위된 관계로 시호 등은 없다.

3. 가족 관계

; 본가 밀양 박씨


  • 증조부 : 지돈녕부사 박안세(朴安世, 미상 ~ 1618)[18]
  • 증조모 : 정경부인 창원 황씨(貞敬夫人 昌原 黄氏, 생몰년 미상)
  • * 조부 : 의정부 영의정 박승종(朴承宗, 1562 ~ 1623)[19]
  • * 조모 : 정경부인 김귀희(貞敬夫人 金貴姬, 1561 ~ ?)[20]
  • ** 아버지 : 형조참판 박자흥(刑曹參判 朴自興, 1581 ~ 1623)[21]
  • * 외조부 : 예조판서 이이첨(李爾瞻, 1560~1623)
  • * 외조모 : 전주 이씨(全州 李氏, 1560~?)[22]
  • ** 어머니 : 정부인 광주 이씨(貞夫人 廣州 李氏)


; 시가 전주 이씨

  • 시조부 : 제14대 선조(宣祖, 1552~1608, 재위 1567~1608)
  • 시조모 : 공빈 김씨(恭嬪 金氏, 1553~1577)
  • * 시아버지 : 제15대 광해군(光海君, 1575~1641, 재위:1608~1623)
  • * 시어머니 : 폐비 유씨(妃 柳氏, 1576~1623)
  • ** 남편 : 폐세자 이지(世子 祬, 1598~1623)

딸 : 군주(郡主, 1614~1614)
아들 : 이름 없는 아들(1614~1614)

3. 1. 본가 (밀양 박씨)

폐빈 박씨의 본가는 밀양 박씨이다.[18] 증조부는 지돈녕부사를 지낸 박안세(朴安世, 미상 ~ 1618)이며,[18] 증조모는 정경부인 창원 황씨(貞敬夫人 昌原 黄氏, 생몰년 미상)이다. 조부는 의정부 영의정을 지낸 박승종(朴承宗, 1562 ~ 1623)이고,[19] 조모는 정경부인 김귀희(金貴姬, 1561 ~ ?)이다.[20] 아버지는 형조참판을 지낸 박자흥(朴自興, 1581 ~ 1623)이다.[21] 외조부는 예조판서 이이첨(李爾瞻, 1560~1623)이며, 외조모는 전주 이씨(全州 李氏, 1560~?)이다.[22] 어머니는 정부인 광주 이씨(貞夫人 廣州 李氏)이다.

3. 2. 시가 (전주 이씨)

폐빈 박씨의 시가는 전주 이씨이다.[18][19][20][21][22] 시조부는 조선 제14대 왕인 선조(1552~1608, 재위 1567~1608)이며, 시조모는 공빈 김씨(1553~1577)이다. 시아버지는 제15대 왕인 광해군(1575~1641, 재위 1608~1623)이고, 시어머니는 폐비 유씨(1576~1623)이다. 남편은 폐세자 이지(1598~1623)이며, 이지와의 사이에서 1614년에 딸 군주와 아들을 얻었으나 모두 요절하였다.

4. 평가

5. 기타

5. 1. 대중 매체에서의 폐빈 박씨

참조

[1] 문서 Lunar calendar
[2]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4]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5]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6] 문서 Was yeonguijeong and uijeongbu
[7] 문서 His second son, Yi Dae-yeop ({{Korean|hangul=이대엽|hanja=李大燁|labels=no}}) of the Gwangju Yi clan ({{Korean|hangul=광주 이씨|hanja=廣州 李氏|labels=no}}; 1587–1623), married the youngest daughter of Shin Rip
[8] 뉴스 《조선왕조실록》광해군일기 중초본 44권, 광해 3년 8월 2일 기사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9] 뉴스 《조선왕조실록》광해군일기 중초본 44권, 광해 3년 8월 23일 경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0] 뉴스 《조선왕조실록》광해군일기 중초본 49권, 광해 4년 1월 15일 경술 6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1] 뉴스 《조선왕조실록》광해군일기 중초본 80권, 광해 6년 7월 5일 을묘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2] 뉴스 《조선왕조실록》광해군일기 중초본 85권, 광해 6년 12월 19일 정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3] 간행물 《대동야승》응천일록 1권, 갑인년(1614, 광해군 6) 12월 19일 http://db.itkc.or.kr[...]
[14] 뉴스 《조선왕조실록》인조실록 1권, 인조 1년 3월 14일 갑진 1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5] 뉴스 《조선왕조실록》인조실록 1권, 인조 1년 3월 19일 기유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6] 뉴스 《조선왕조실록》인조실록 2권, 인조 1년 5월 22일 신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7] 뉴스 《조선왕조실록》인조실록 2권, 인조 1년 6월 25일 갑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8] 뉴스 《조선왕조실록》광해군일기 중초본 127권, 광해 10년 윤4월 5일 계해 8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9]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박승종〉항목 https://terms.naver.[...]
[20] 문서 정현옹주]]의 외5대손
[21]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박자흥〉항목 https://terms.naver.[...]
[22] 문서 세종]]의 아들 밀성군]]의 5대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